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종합소득세 신고 이렇게 하세요! 실수 많은 공제항목 & 가산세 대처법

by wealth97 2025. 5. 20.
반응형

 

종합소득세 신고 마감일 및 대상자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 마감일은 5월 31일(금)입니다. 국세청 홈택스 또는 세무대리인을 통해 신고할 수 있으며, 2024년에 사업·임대·프리랜서·기타소득이 발생한 모든 개인은 신고 대상입니다.

  • ✔ 프리랜서·크몽/탈잉 등 플랫폼 근로자
  • ✔ 부동산 임대수익자
  • ✔ 주식/코인 등 기타소득자
  • ✔ 개인사업자 및 1인 쇼핑몰 운영자

놓치기 쉬운 공제 항목 TOP 5

다음 항목들은 신고 누락이 잦고, 제대로 챙기면 세금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1. 건강보험료 납입분 – 국민건강보험 자동이체 포함 여부 확인
  2. 기부금 세액공제 – 종교단체, 연말 기부 영수증 첨부 필요
  3. 주택자금 이자상환액 – 청약 통장과 분리하여 기재
  4. 경로우대 공제 – 만 70세 이상 부모님 부양 시 적용 가능
  5. 신용카드 소득공제 – 총 급여의 25% 초과 사용분부터 가능

신고 마감 후 대처 방법과 가산세 계산법

신고 기한을 놓쳤다면, “기한 후 신고”를 통해 최대한 빨리 신고해야 가산세를 줄일 수 있습니다.

📌 가산세 종류

  • 무신고 가산세: 납부세액의 20%
  • 과소신고 가산세: 과소 금액의 10%~40%
  • 납부 지연 가산세: 1일당 0.022% × 지연 일수

예: 납부세액이 200만 원이고, 10일 늦게 신고했다면 → 200만 원 × 0.22% × 10일 = 약 44,000원 가산세 발생

단계별 종합소득세 신고 체크리스트

  • ✅ 홈택스 접속 → 종합소득세 신고 메뉴 클릭
  • ✅ 기본 정보 확인 → 주민등록번호, 업종코드
  • ✅ 소득 항목별 수입/경비 입력
  • ✅ 각종 공제 항목 누락 없이 선택
  • ✅ 예상 납부세액 확인 후 제출
  • ✅ 납부기한 내 세액 납부 (카드·계좌·QR 가능)

마무리 및 후속 조치 안내

신고 후에는 전자신고 확인증을 반드시 출력하거나 캡처해 보관하세요. 추후 소득 증빙, 금융기관 제출 등에서 활용됩니다.

또한, 세무서에서 신고 오류나 누락을 지적받는 경우를 대비해 증빙자료(영수증, 거래 내역 등)은 5년간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신고가 완료되었다면, 홈택스 ‘신고내역 조회’에서 결과를 재확인하고, 납부 내역도 반드시 확인해 주세요.

반응형